전력산업 : 발전에 대해(part2)

Posted by thejang's Blog on January 13, 2020. 2 min read.

전력산업 : 발전에 대해(part2)

수요반응(발전을 대체하는 수단)

  • 수요반응이란, 발전출력 특히 첨두하용 발전을 대체하는 수단으로서 첨두부하 발생시기에 소비자의 수요를 감축하는 매커니즘
  • 이 프로그램은 전력수요가 높아 공급신뢰도가 위협받는 경우에 전력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대가로서 해당 소비자의 요금을 할인해주는 리베이트를 제공
  • 수용반응 아래 2가지로 나뉨
    1. 비상 수요반응
      • 공급할 수 있는 발전기 출력이 부족하여 최종소비자가 수요를 감축하지 않으면 신뢰도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비상시에만 수요를 감축
    2. 경제적 수요반응
      • 소비자가 전력을 구입하거나 자체적으로 발전하는 것보다 수요를 줄이는 것이 전기요금의 측면에서 더 경제적인 경우에 자발적으로 수요를 줄이는 것
      • 경제적 수요반응 프로그램은 아래 4 가지로 구분
        1. 실시간 요금제도
          • 소비자요금을 실시간 전력시장이나 익일 전력시장을 반영하여 시간대별로 책정하여 소비자의 행동패턴을 강제하는 제도
        2. 자발적 수요관리
          • 소비자의 부하감축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제도
        3. 감축가능 용량 콜(Call)
          • 약정된 조건에 도달하면 전력회산 판매사업자에게 부하를 차단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한 대가로서 소비자에게 용량요금을 지불하는 제도
        4. 자동 수요반응(자동원격제어 수요관리)
          • 소비자가 전력회사나 판매사업자에게 부하를 자동적으로 원격에서 차단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한 대가로 소비자에게 용량요금을 보상하는 제도

부하곡선(조건)을 만족하기 위한 발전기의 이용

  • 전력공급 시장의 이해는 부하곡선을 충족하기 위해서 어떤 시간에 어떤 발전기를 급전해야하는지를 이해해야함
  • 발전기의 투입순위의 마지막에 사용되는 발전기의 입찰가격이 경쟁시장의 가격으로 되기 때문에 이것은 가격결정에 영향을 미침
  • 부하의 종류는 아래 3 가지로 구분됨
    1. 기저부하용(낮은 변동비, 운전유연성부족)
      • 일반적으로 낮은 변동비와 운전유연성 부족으로 이한 원자력,석탄화력
      • 낮은 변동비로 인한 수력발전기 및 유자격발전기(QF, 규제 상의 요구로 인해서)
      • 또한 지역적 송전제약을 해소하는데 필요한 가스화력 또는 중유화력을 기저부하용 발전기로서 사용하기도함
    2. 중간부하용
      • 가스화력, 석유 발전기, 복합화력, 그리고 수력발전기에 의해서 공급
      • 해당 구간의 발전기는 출력을 증감할 수 있는 운전상의 유연성이 있기 때문
      • 또한, 변동기가 첨두부하용 발전기보다 낮기 때문
    3. 첨두부하용
      • 단순 사이클 가스터빈, 수력, 양수
      • 계통운영자는 공급 신뢰도를 유지하기 위해 운전예비력을 확보해야 함으로 수력, 가스터빈 등의 첨두부하용 발전기와 부분부하로 운전되는 화력발전이 적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