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력산업구조와 시장(part1)
1. 전력산업의 기능
- 전력산업을 기능별로 분류한다면 아래 5가지로 나뉨
- 발전(Generation)
- 송전(Transmission)
- 계통운영(System Operation)
- 배전(Distribution)
- 판매기능(Supply)
발전 사업
- 과거에는 기술의 한계 때문에 발전은 자연독점의 성격을 가짐 (대용량 발전을 통한 규모의 경제)
- 기술의 발전으로 값싼 발전설비로 효율적 발전이 가능해지면서 더 이상 규모의 경제가 아닌 구조로 변화
전력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‘싸게 전기를 구입하기 위해 공급자를 바꿀 수도 있어야 하지 않는가?’
- 이 패러다임 변화로 인해 ‘수직통합독점 전력회사(Vertically Integrated Utility)’ 체제의 개편이 일어남
송전 및 배전 계통 산업
- 발전 사업자, 배전 사업자, 중개업자, 수용가를 물리적으로 연결 시켜주는 장치
- 송전선이나 배전선을 건설하는 비용, 즉 고정비가 매우 큰 반면 한계비용은 매우 낮기 때문에 경쟁 사업자가 진입을 할 가능성이 적어서 독점적인 성격을 가짐
- 발전기의 대체재이자 보완재로서 발전기들 간의 경쟁을 심화시킬 수 있고 특정 발전기의 시장 지배력을 완화 시킬 수 있음
- 따라서, 송전선 입지에 대한 규제는 엄격하게 규제되어야함
전력 계통 운영
- 전력산업에서 계통 운영은 협조(Coordination) 및 경제적 거래(Economic Trading) 기능을 담당
- 전기는 일반적인 상품과 다른 특징을 지니기 때문에 계통 운영이라는 기능이 필요함
- 전력은 공급과 수요는 매순간 마다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,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계통이 붕괴되어 재앙적인 광역정전사태가 발생할 수 있음
- 따라서, 전력은 계통에 속한 모든 발전기들이 생상한 전력이 풀(pool)에 모아지고 소비자들이 이 풀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형태로 볼 수 있음
- 전력은 다른 상품과 다르게 대규모로 경제적 저장할 수 있지 않기 때문에 (ESS는 극소규모의 전기만 저장 가능) 전력수요가 급격하게 변동하는 시장에서 계통 운전 비용을 최소화하고 전력계통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중앙집중식 계통운영은 기본 성격상 자연독점임
판매 산업
- 판매기능(Supply Funciton)은 도매공급과 소매공급을 의미
- 도매공급은 재판매를 위한 판매 또는 거래자(Traders)에 대한 판매를 의미
- 일반적으로 한국에서는 발전사들이 전력거래소를 통해 한국전력에 전기를 도매공급
- 소매공급은 최종수용가에 대한 판매를 의미
참고문헌 : 『전력시장의 이론과 과제』, 전력거래소(2019년)